본문 바로가기
전략기획 브리핑

전략기획 브리핑 #003 엔비디아, 2025 GTC 젠슨황 기조연설 요약

by 후랭쿠 2025. 4. 19.

2025 GTC 젠슨황 기조연설 '25.03.18 

엔비디아, 2025 GTC 젠슨환 기조연설 요약
엔비디아, 2025 GTC 젠슨황 기조연설 요약, 당신도직장의신

 

회의 시작 3분 전, 바로 꺼내 써먹는 뉴스 기사 요약

2025 GTC 젠슨황 기조연설 

Blackwell Ultra 출시 발표 → Vera Rubin 로드맵 공개 → AI 로봇·자율주행 발표 → 미국 내 생산 확대 발표 → AI 공급망 주도권 확보

"네, 상무님. 3월 중순에 있었던 GTC 2025 젠슨황 CEO 연설 요약드리겠습니다.

이번 연설에서는 차세대 AI 칩셋 ‘Blackwell Ultra’와 후속 플랫폼인 Rubin, Rubin Ultra가 공개됐고, 자율주행 분야에서는 Halos라는 신규 AI 안전 플랫폼이 발표됐습니다. 로봇 분야에선 Isaac GR00T N1 모델과 시뮬레이션용 엔진 Newton도 공개됐고요.

특이한 건, 단순 연산 칩 발표가 아니라 제조, 로보틱스, 자율주행을 모두 커버하는 구조 플랫폼화 흐름이 명확하다는 점입니다. 생산 측면에서도 TSMC,폭스콘 등과 함께 미국 내 제조 생태계 확장을 선언했는데,
이 흐름은 자율주행 업계 중 특히 Tier1 및 EMS 입장에서는 공급망 재편 압박 요인으로 해석될 수 있습니다.

이상입니다."


 

출처 Watch Nvidia's GTC 2025 Keynote: All the Highlights in 16 Minutes
Watch Nvidia's GTC 2025 Keynote: All the Highlights in 16 Minutes - CNET

 

Watch Nvidia's GTC 2025 Keynote: All the Highlights in 16 Minutes - Video

Nvidia CEO Jensen Huang delivered his annual keynote address at GTC 2025 at the SAP Center in San Jose, California. Watch all the highlights from Nvidia's live event.

www.cnet.com

핵심 사건 요약:

  • 차세대 AI GPU 'Blackwell Ultra' 발표
  • 후속 칩셋 'Rubin', 'Rubin Ultra' 로드맵 공개
  • 자율주행 및 로보틱스용 플랫폼 다수 발표 (Halos, Isaac, Cosmos, Newton 등)
  • NVIDIA Drive Thor와 통합 가능한 엣지 AI 시스템 제시
  • 미국 내 AI 제조 생태계 확장 발표 (TSMC, 폭스콘, 위스트론과 협력)
  • AI 엣지 모듈의 현지 통합 생산 흐름 강화로 EMS 및 Tier1 구조 대응 필요성 대두

인사이트:

  • NVIDIA의 차세대 AI GPU 'Blackwell Ultra'는 이전 세대 대비 향상된 성능을 제공하며, AI 연산 능력을 강화합니다.
  • 후속 칩셋 'Rubin'과 'Rubin Ultra'는 향후 AI 기술 발전에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 자율주행 및 로보틱스 분야에서 다양한 플랫폼이 발표되어, 해당 산업의 발전을 촉진할 것으로 보입니다.
  • NVIDIA Drive Thor와의 통합은 엣지 AI 시스템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 미국 내 AI 제조 생태계 확장은 공급망 안정성과 현지 생산 능력 강화를 목표로 하며, EMS 및 Tier1 업체들에게 새로운 기회를 제공할 수 있습니다.

질문 및 답변: 

Q. 미국에 공장 짓는다고? 칩 만들겠다는 건가?
A. 네, 단순 칩이 아니라 AI 연산 장비 전체를 미국에서 조립, 패키징까지 하겠다는 계획입니다.
 TSMC·폭스콘·위스트론이 다 참여해서 공급망을 현지화하려는 흐름입니다.

Q. 자율주행하고는 무슨 관련이야?
A. 이번 발표에서 자율주행용 엣지 플랫폼도 같이 나왔습니다.
 Thor 기반으로 Halos, Isaac 같은 시스템 통합 플랫폼이 공개됐고요.
   이게 향후 Tier1이나 EMS에게 미국 중심의 납품 구조 요구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Q. 우리 입장에선 뭐가 중요해지는 거야?
A. 센서 부품을 그냥 납품하는 게 아니라, 해당 AI 연산 구조와 연동된 모듈 수준의 대응이 필요해졌다는 겁니다.
 특히 통합 설계, FW 대응, 엣지 연산기와의 호환 등 실질적인 대응 역량 요구가 커집니다.

Q. EMS 업체 입장에서 영향은?
A. 단순 조립 공장 역할로는 남기 어려워집니다. 엣지 AI나 자율주행 플랫폼과 결합된 시스템 납품 역량 없으면
   도태될 가능성도 있습니다. 현지 생산 요청도 점점 늘어날 거고요.

Q. 그래서 우리 같이 ADAS 관련 제조사도 북미 지역에 생산 거점을 더 늘려야 한다는 건가? 
A. 네, 당장은 필요 없지만 그런 방향성을 염두에 둘 필요는 있습니다. 엔비디아가 미국 내에서 AI 엣지 플랫폼을
   조립과 생산까지 하겠다고 밝힌 것은 단순 칩 공급을 넘어서 자율주행 관련 모듈과 부품 전체를 현지에서
  통합하려는 방향성을 보여준 것입니다. 이 플랫폼에 연동되는 레이더, 라이다, 제어기 같은 ADAS 부품 역시
  북미에서 조달 가능해야 한다는 요구가 OEM이나 플랫폼 업체 쪽에서 제기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당장 생산 거점을
  이전해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지만 북미 내 생산 대응력이나 EMS 파트너 유무는 향후 수주와 전략적 협업에서
  중요한 기준이 될 수 있습니다. 사전 검토는 필요하다고 판단됩니다.

 


전체 연설 요약
2025년 3월 18일, 젠슨 황은 GTC 기조연설을 통해 엔비디아가 구축해가고 있는 AI 생태계의 방향성과 주요 기술 로드맵을 공개했다. 이번 연설은 단순한 반도체 제품 소개가 아니라, 연산 중심의 AI 인프라부터 엣지 단말, 산업별 통합 솔루션까지 전방위적 확장을 선언하는 자리였다.

먼저 AI 학습과 추론을 위한 차세대 GPU인 Blackwell Ultra가 발표됐다. 이는 2024년 발표된 Blackwell의 확장형으로, 데이터센터에서 고성능 AI 모델 학습과 추론 효율을 획기적으로 끌어올리는 제품이다. 이어서 Rubin, Rubin Ultra라는 후속 칩셋의 로드맵도 함께 공개됐으며, ARM 기반 고성능 CPU와 AI 최적화 GPU 구조가 포함된다고 밝혔다.

자율주행 분야에선 새로운 플랫폼 Halos, 그리고 Isaac, Cosmos, Newton 등 엣지 AI 기반 로보틱스 솔루션이 소개됐다. 특히 이들은 NVIDIA의 기존 Drive Thor 플랫폼과 통합이 가능하도록 설계됐으며, AI 연산 중심 차량 제어의 핵심 연산기로서의 역할이 강조됐다.

한편 엔비디아는 TSMC, 폭스콘, 위스트론 등과 함께 미국 내 제조 생태계를 확장하겠다는 계획도 밝혔다. 이는 패키징과 조립까지 포함한 현지 공급망 완결을 의미하며, 미국 중심의 AI 인프라 독립 전략과 맞물린다.

자율주행 및 HPC EMS 업계 입장에선, 이러한 발표가 단순히 제품 변화가 아닌 공급망 구조 변화로 해석될 수 있다. 특히 엣지 연산 모듈이 미국 내에서 조립된다면, 여기에 연동되는 센서 및 HPC 제품군 역시 북미 조달 요구를 받을 수 있다는 점에서 향후 대응 전략이 필요하다.

결론적으로, 이번 GTC 2025 기조연설은 AI 기술의 고도화뿐 아니라, 제조·조달·통합의 생태계가 함께 이동하고 있음을 명확히 시사한 이벤트였다. 자율주행과 ADAS 산업에선 플랫폼 주도권을 가진 기업 중심의 구조 전환이 가속화될 것으로 전망된다.

 


인사이트 정리

  1. 플랫폼 중심 구조 전환이 가속화되고 있음
    엔비디아는 자율주행, 로보틱스, 클라우드 AI 등 전 영역을 포괄하는 연산 플랫폼을 제시함으로써,
    단순 칩 공급이 아닌 시스템 아키텍처 주도권을 강화하고 있음.
  2. 엣지 AI 연산 모듈의 미국 내 조립 및 공급망 현지화 선언
    이는 추후 자율주행 차량에 탑재되는 센서 및 연산 모듈도 북미 지역 조달 가능 여부가 핵심 조건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함.
  3. HPC EMS 업체 입장에선 진입 장벽 상승과 기회가 동시에 존재
    칩 구조와 플랫폼 아키텍처를 이해하고 대응 가능한 Tier1 출신 EMS 업체는
    단순 조립에서 벗어나 플랫폼 파트너로 진화할 기회를 가질 수 있음.
    반면, 기술 기반이 약하거나 북미 생산 거점이 없는 EMS 업체는 제외될 가능성도 존재.
  4. 자율주행과 AI 플랫폼은 더 이상 완성차사만의 전략이 아님 플랫폼 업체들이 전체 주도권을 가지는 구조에서, OEM과 Tier1의 역할은 ‘플랫폼 호환성’과 ‘지역 대응력’에 따라 재정의될 가능성 있음.

관련 용어 정리

  1. Blackwell Ultra
    NVIDIA의 차세대 AI GPU. 데이터센터용 대형 모델 학습과 추론을 위한 고성능 연산 칩. 기존 Blackwell의 확장 버전으로 연산 효율과 에너지 효율 모두 개선됨.
  2. Rubin / Rubin Ultra
    Blackwell의 후속 제품군. ARM 기반 고성능 CPU와 AI 연산 최적화를 위한 구조가 적용될 예정이며, 차세대 AI 추론과 통합 플랫폼 전략의 핵심 라인업으로 예고됨.
  3. Drive Thor
    엔비디아의 자율주행 전용 엣지 연산 플랫폼. 자율주행 제어, 인포테인먼트, 차량 통신 등을 통합하는 고성능 제어기 역할 수행.
  4. Halos / Isaac / Cosmos / Newton
    자율주행 및 로보틱스 통합 솔루션 명칭. 각기 다른 목적(인지, 경로설계, 로보틱스 제어 등)에 최적화된 플랫폼으로, Drive Thor와 연동 가능.
  5. TSMC / 폭스콘 / 위스트론엔비디아가 미국 내 생산·조립·패키징 파트너로 언급한 기업들. 이를 통해 미국 중심의 반도체 및 시스템 생산망을 강화하겠다는 전략이 명확히 제시됨.

 

 


 

  • Blackwell Ultra (2024): 데이터센터용 차세대 AI GPU, 학습과 추론 효율을 획기적으로 개선한 모델
  • Rubin / Rubin Ultra (2026~2027 예정): Blackwell 후속 슈퍼칩 플랫폼, ARM CPU와 AI GPU 통합 예정
  • Vera Rubin 시스템 (2026 예정): Rubin GPU와 Vera CPU를 통합한 고성능 서버 시스템
  • DGX Spark / DGX Station (2024~2025): 개발자 및 연구자용 개인 AI 슈퍼컴퓨터, Blackwell 기반
  • RTX PRO Blackwell (2024): 디자이너·과학자·엔지니어용 워크스테이션 GPU
  • Spectrum-X / Quantum-X (2025): AI 팩토리를 위한 고속 네트워크 플랫폼, 실리콘 포토닉스 기반
  • Halos (2025): 자율주행 차량용 안전 AI 시스템, 차량 내 센서와 연동되는 핵심 플랫폼
  • Isaac GR00T N1 (2025): 오픈소스 기반의 휴머노이드 로봇 학습 모델
  • Cosmos (2025): 자율주행 및 로보틱스 AI 학습을 위한 시뮬레이션 환경 플랫폼
  • Newton (2025): 로봇 동작을 고정밀로 시뮬레이션하는 물리 엔진, DeepMind·디즈니와 공동 개발
  • Dynamo (2025): AI 팩토리 운영을 위한 오픈소스 기반 추론·운영 플랫폼
  • GeForce RTX 50 시리즈 (2025 예정): Blackwell 기반의 차세대 소비자용 GPU (5090, 5080 등 포함)
  • NVL576 랙 시스템 (2025): Rubin Ultra 기반의 데이터센터용 고성능 AI 랙, 최대 600kW 지원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