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경영,주식/국내 해외 주식 이야기

유심해킹 관련주 관련주 모음 25.05.02

by 후랭쿠 2025. 5. 2.
 

목차

  1. 유심 해킹 관련주, 지금 투자해도 될까요?
  2. 카카오의 보안 강화 조치
  3. 유심 해킹의 위험성과 대응
  4. 유심 해킹 관련 주요 종목 정리
  5. 마치며
  6. 출처

유심해킹관련주
유심해킹관련주

 

1. 유심 해킹 관련주, 지금 투자해도 될까요?

최근 SK텔레콤에서 발생한 유심(USIM) 정보 유출 사고는 단순한 통신 오류가 아닌, 보안 체계 전반에 대한 구조적인 문제를 드러낸 사건으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이번 사고로 인해 통신 서비스 가입자의 개인정보와 인증 기반 시스템이 외부에 노출될 가능성이 제기되었으며, 이에 따라 유심 기반 인증 방식을 사용하는 다양한 플랫폼에서도 보안에 대한 우려가 확산되고 있습니다.

특히 유심 정보는 휴대전화 사용자 본인의 신원 인증 수단으로 광범위하게 활용되고 있어, 단순한 문자 인증을 넘어서 금융·공공서비스·기업 업무 시스템 등에도 직결된다는 점에서 위협의 수준이 매우 큽니다.
이에 따라 유심 복제 및 해킹에 대한 관심이 급격히 높아지고 있으며, 자연스럽게 관련 보안 기술을 보유한 기업들의 주가에도 긍정적인 반응이 나타나고 있습니다.

투자자 입장에서는 이번 사건을 단기적인 테마로만 볼 것이 아니라, 보안 기술의 패러다임 전환과 정책 변화에 따른 중장기 흐름으로 해석할 필요가 있습니다.
정부 차원에서도 통신 인프라에 대한 전면적인 보안 재점검과 인증 체계 개편 논의가 시작되었으며, 이는 실질적인 수혜주 선별의 기준이 될 수 있습니다.

이처럼 유심 해킹 사태는 단발성 해프닝이 아닌, 모바일 보안 전반에 대한 기술적·제도적 수요 증가를 자극하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보안 솔루션을 보유한 상장사들의 향후 실적 전망, 기술 고도화 현황, 주요 레퍼런스 등을 종합적으로 분석하는 것이 투자 전략 수립에 있어 중요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2. 카카오의 보안 강화 조치

카카오는 카카오톡 사용자들에게 다음과 같은 보안 설정 강화를 권장하고 있습니다:

  • 계정 보안 진단 실행: 계정 이상 여부를 점검하고 주의 사항에 따라 설정을 변경할 수 있습니다.
  • 2단계 인증 설정: 카카오계정 로그인 시 추가 인증을 요구하여 보안을 강화할 수 있습니다.
  • 국가별 로그인 제한 사용: 평소 접속하지 않는 국가에서의 로그인 시도를 사전에 차단할 수 있습니다.

카카오는 비정상적이거나 의심스러운 환경에서의 로그인 시도를 자동으로 탐지해 차단하며, 이용자에게 즉시 알림 메시지를 전송하고 추가 인증 절차를 요구하는 등의 보호 절차를 갖추고 있습니다.

 

3. 유심 해킹의 위험성과 대응

유심(USIM) 해킹은 단순한 문자 메시지 사기나 스미싱을 넘는 구조적인 보안 위협입니다.
해커는 피해자의 유심을 복제하거나 제3자가 통신사에 접근해 번호를 탈취함으로써, 단순한 문자 인증뿐만 아니라 본인 인증 체계 전체를 무력화할 수 있습니다.

이 방식은 ‘심스와핑(SIM swapping)’이라고도 불리며, 피해자는 자신의 휴대폰이 먹통이 되는 순간부터 금융 계좌 접속, 2차 인증 우회, 소셜미디어 탈취 등의 피해를 연쇄적으로 입게 됩니다.

실제로 이번 SK텔레콤 유심 유출 사태에서는 다수의 고객 정보가 유출된 정황이 확인되었고, 통신사는 이에 따라 전 고객을 대상으로 무료 유심 교체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또한 유심 잠금 설정과 본인 외 변경 차단 서비스 등을 통해 보안을 강화하겠다는 입장을 밝혔습니다.

이러한 유심 해킹은 피해가 발생하기 전까지 사용자가 인지하기 어렵다는 점에서 매우 위험합니다.
특히 공공기관, 금융기관, 기업 계정과 연동된 휴대폰 번호가 탈취될 경우, 단순 계정 도용이 아니라 업무 중단·정보 유출까지도 야기할 수 있습니다.

통신 3사는 이번 사태를 계기로 향후 eSIM 도입 확대, 생체 기반 인증 도입, 고객센터 접근 정책 강화 등의 중장기 대응책도 함께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결국 유심 해킹은 더 이상 개인 보안의 문제를 넘어, 국가 인프라 차원의 신뢰 회복 과제로 부상하고 있습니다.
투자자 입장에서는 이러한 구조적 리스크가 기술 대체 수요를 유발하고 있는지, 기존 보안 솔루션이 얼마나 실효성 있게 대응하고 있는지에 주목할 필요가 있습니다.

 

 

4. 유심 해킹 관련 주요 종목 정리

한싹 (373200)

한싹은 2005년에 설립된 망분리·망연계 전문 보안 기업입니다.
군수물자 예측 모델에 AI 보안 솔루션을 공급하고 있으며, 클라우드 기반 보안 게이트웨이 출시로 해외 시장 진출도 본격화하고 있습니다. 2024년 기준 매출은 약 277억 원입니다.

유비벨록스 (089850)

유비벨록스는 2000년에 설립된 스마트카드 및 유심 칩 제조 기업입니다.
국내 주요 통신사에 유심을 공급하고 있으며, 최근 유심 교체 수요가 급증하면서 주목받고 있습니다.
2024년 매출은 약 1,200억 원입니다.

아톤 (158430)

아톤은 1999년에 설립되어 모바일 인증 및 핀테크 보안 솔루션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금융권과 공공기관에 인증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며, PASS 앱 기반 인증 기술로 시장 내 입지를 다지고 있습니다.
2024년 매출은 약 900억 원입니다.

드림시큐리티 (203650)

드림시큐리티는 1998년 설립된 보안 소프트웨어 전문 기업입니다.
전자서명, 통합인증, 블록체인 DID 인증 등 다양한 솔루션을 보유하고 있으며, 공공 프로젝트 다수에 참여하고 있습니다. 2024년 매출은 약 730억 원입니다.

모니터랩 (434480)

모니터랩은 웹방화벽, API 보안 솔루션을 주력으로 하는 보안 전문 기업입니다.
클라우드 기반 인증 제어 기술을 통해 SaaS 시장에도 진출하고 있으며, 통신·금융권을 주요 고객으로 확보하고 있습니다. 2024년 매출은 약 580억 원입니다.

샌즈랩 (432720)

샌즈랩은 AI 기반의 위협 탐지 솔루션을 개발하는 보안 기업입니다.
공공기관 보안 관제 시장에서 강점을 보이고 있으며, 최근 유심 해킹과 같은 고도화된 공격에 대응할 수 있는 기술력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2024년 매출은 약 450억 원입니다.

싸이버원 (238120)

싸이버원은 정보보안 컨설팅, 침해 대응, 보안관제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업입니다.
국내 통신사와 금융기관을 중심으로 실적을 쌓아오고 있으며, 보안 사고 대응에 특화된 기술력을 갖추고 있습니다.
2024년 매출은 약 600억 원입니다.


 

5. 마치며

유심 해킹 사태는 보안의 중요성을 다시 한번 일깨워주는 계기가 되었습니다. 관련 기업들은 이러한 상황에서 기술력과 솔루션을 바탕으로 시장의 신뢰를 얻고 있으며, 투자자들은 이러한 기업들의 동향을 주의 깊게 살펴볼 필요가 있습니다

 

 

6. 출처

※ 위 내용은 참고용으로, 투자 시에는 신중한 판단이 필요합니다.

↑ TOP

다른 주식 정보가 궁금하시다면?  자율주행 관련주 25.05.02

 

자율주행 관련주 25.05.02

목차자율주행 기술 구조기술별 자율주행 관련주 – 칩, 센서, AI, 시스템, 완성차자율주행 센서 관련주자율주행 칩 관련주자율주행 AI 관련주자율주행 시스템 관련주자율주행 완성차 관련주자율

frankkim.tistory.com

 

댓글